IT 잡학/유용한 정보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Android Automotive) 관련된 개략적인 설명 #1

프하하 2022. 5. 7. 12:34

안드로이드는 2007년에 구글과 OHA라는 곳이 함께 휴대전화에 통일된 플랫폼을 적용하고자 함께 협업하여 개발한 플랫폼입니다. 

 

예전에 삼성에서 안드로이드를 인수한다고 했었는데 구글과 함께 손을 잡았던게 신의 한수였었죠...

 

삼성입장에서는 매우 아쉬운 부분일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애플 iOS와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는 OS죠.

 

현재는 휴대전화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웨어러블, IoT, TV 및 새로운 기기들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채택이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HW 제조사들은 자체적으로 OS를 개발하지 않고 구글의 플랫폼을 채택하여 사용할까요?

 

그 답은 개발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글이 초기 시장을 선점하고 안드로이드 플랫폼 내에서 많은 기능들이 이미 높은 품질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HW 제조사 입장에서는 굳이 자체개발을 할 필요가 없이 안드로이드를 채택하면 막대한 개발기간과 개발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HW의 Supply Chain을 이해해봐야 하는데요. 최종 제조사 (자동차, 휴대전화 제조사 등)의 경우에는 자동차를 조립하기 위해, 휴대전화를 조립하기 위해 각각의 부품들을 부품 제조사에서 구매해야 합니다.

 

이 때, 부품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가 아닌 자체 개발 OS를 사용하게 될 경우, 기능이 더욱 좋다고 하더라도 비용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호환성 측면에서 부담감을 갖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OEM에서는 부품제조사들의 부가가치를 낮추고 저렴하게 부품들을 구입하기 위해서 Android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오픈소스 프로젝트 (AOSP)는 휴대전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TV, 태블릿 등의 단일 플랫폼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또한 Core Framework와 Service layer에 대해서도 좋은 확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확장성 덕분에 제조사에서는 제조사의 제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안드로이드에서 지원하는 기능들을 수직, 수평적으로 통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확장성 뒤에서 구글에서는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의 핵심 사양을 준수하도록 권장하기 위해 Android Compatibility Definition Document를 배포하고 있습니다.

 

https://source.android.com/compatibility/cdd

 

Android 호환성 정의 문서  |  Android 오픈소스 프로젝트  |  Android Open Source Project

Android 호환성 정의 문서 Android CDD(호환성 정의 문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기기가 최신 버전의 Android와 호환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요구사항을 설명합니다. Android 10과 호환

source.android.com

 

이러한 구글의 지원 덕분에 제조사에서는 막대한 개발 리소스 투입없기 원하는 기능들을 안드로이드 지원하에 무리 없이 개발할 수 있습니다. 개발과정 역시 구글에서 단순화시켰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안드로이드 앱을 목적에 맞게 쉽게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