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업계에서만 사용되던 안드로이들이 최근 몇 년간 자동차나 다른 산업군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안드로이드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용어 관련해서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금까지 다른 산업에서 일을 하다가 갑자기 안드로이드 관련해서 뭘 해보라고 위에선 일을 시키는데 관련 용어를 모르면 굉장히 업무를 진행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저는 그래서 공부를 할 겸 용어를 간단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안드로이드 용어정리
AOSP (Android Open Source Project) - 무료로 제공되는 Full OS (운영체제)와 SW 플랫폼. Production Quality를 보장하고 있어 사용해도 SW 품질이 보장될 수 있음
GMS (Google Mobile Services) - 휴대전화 기능을 위한 앱들의 모음. 맵, Gmail, 어시스턴트, 플레이스토어, OTA 기능 등
GAS (Google Automotive Services) -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HW의 기능구현을 위한 앱들의 모음. 마찬가지로 맵, 이메일, 어시스턴트, 플레이스토어, OTA 기능 등의 앱이 있음
Android Auto - 휴대전화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HW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구글에서 개발한 Project Mode 솔루션. 휴대전화만 있으면 자동차의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많이 경험해 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Android Automotive - 자동차 산업에서 요구하는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 안드로이드의 기능을 확장시킨 버전.
지원되는 기능으로는 네트워킹, 블루투스 및 Wi-Fi, 진단기능, 전력관리, 다중 스크린 및 다중 터치패널 지원 등이 있음
HIDL (Hardware 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 - HAL (Hardware Abstraction Layer) 를 정의하는 언어라고 볼 수 있음. HAL 과 유저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체화하는데 주로 사용됨.
CDD (Compatibility Definition Document) - 구글에서 배포한 사양서로 안드로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CPU, GPU, 메모리, HDD, 멀티미디어 호환성, API 지원 등에 대한 사양을 포함하고 있음. 안드로이드를 채택하고 있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는 CDD를 준수해야함.
TESTING 관련
CTS (Compatibility Test Suite) - 유닛 테스트들의 세트로서 엔지니어들이 개발함에 있어서 참고하는 테스트 세트. 개발 과정 중에 개발자들이 비호환되는 부분들을 감지해내고 개선하고, 호환성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VTS (Vendor Test Suite) - Kernal과 HAL을 평가하고 검증하는 테스트 세트
구글에서는 CTS와 VTS 처럼 배포된 테스트 세트 말고도 별도로 관리하고 있는 ART, ATS, STS, BTS와 같이 GAS (Google Automotive Services) 의 호환성을 평가하기 위한 툴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음
향후 추가되는 용어가 있으면 따로 정리해서 다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IT 잡학 >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Android Automotive) 관련된 개략적인 설명 #1 (3) | 2022.05.07 |
---|---|
티스토리에 색상 구분된 코드 삽입하는 방법, 컬러스크립터 활용하기 (1) | 2022.05.01 |